자료실
- 제목
- 광명누리길 보행안내체계 표준디자인 매뉴얼
- 발행처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사업명
- 2021 생활안전 및 생활편의를 더하는 공공디자인
- 파일유형
- 문서
- 사업기간
- 2021-06 ~ 2022-06
- 공공누리유형
- 제4유형
- 발행연도
- 2022
- 상세내용
- 광명시 누리길의 보행공간의 일관된, 읽기 쉽고, 찾기 쉬운 통합적인 보행안내 체계를 개발하여 쾌적한 보행환경 조성
- 주제분류
- 정보디자인, 기타 시설물, 안내 시설물, 편의 시설물, 보행안전 시설물, 환경시설, 문화복지시설, 공원 및 휴양공간, 가로공간
- 기관·지역분류
- 공공기관 / 서울
- 키워드
- 경기, 공공디자인, 시각디자인, 안내사인, 공공시설물, 색채
- 링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부산진구에서 2023년 3월 발행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공공디자인 진흥계획(2023~2027)>
부산진구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에서 2025년 6월 발행한 <통권 35호, 2025. Vol.10, No.2> '농산어촌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방향성 기초연구(장영호 외 1명)' 본 연구는 농산어촌 지역이 직면한 사회적·공간적 문제를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공간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농산어촌은 고령화, 인구감소, 공동체 약화 등 구조적 위기로 인해 공간환경의 질적 저하와 주민의 생활 만족도 하락이 심화되고 있으며, 기존의 물리적 기반 중심의 개발방식만으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정성적이고 통합적인 디자인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공공디자인이 농산어촌 문제 해결의 유효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이론적·실천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농산어촌 공간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적·설계적 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하며, 후속연구를 통해 구체적 가이드라인 구성과 적용방안에 대한 심층적 검토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5
본 사례집은 사회적 가치 변화에 대응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적인 디자인 도구로써의 도시정원을 조명함. 이용자 중심의 경험성, 포용적 차원의 접근성, 지역적 맥락을 존중하는 장소성, 미래 가치를 위한 지속가능성 등 공공디자인의 핵심 가치가 어떻게 구현되고 작동되는지 국내·외 우수한 도시정원 사례를 통하여 소개하고자 함.
서울특별시
2025
충남연구원 공공디자인센터에서 2025년 4월 발행한 <연구 보고서> '제2차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방안(오병찬 외 3명)'
충남연구원 공공디자인센터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