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 제목
- 2020 공공디자인 실태조사 보고서
- 발행처
-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사업명
- 파일유형
- 문서
- 사업기간
- ~
- 공공누리유형
- 제4유형
- 발행연도
- 2020
- 상세내용
- 2020 공공디자인 실태조사 보고서 목차 Ⅰ장 조사 개요 1 1. 조사 배경 및 목적 3 2. 조사 범위 3 3. 공공디자인 발주사업 현황 프로세스 4 4. 지자체 공공디자인 법인식 조사 7 5. 공공디자인 전문회사 실태조사 9 6. 기타 용어 설명 11 Ⅱ장 공공디자인 발주사업 현황(2019~2020년) 13 1. 공공디자인 사업 규모 15 2. 공공디자인 사업 분류 분석 17 3. 공공디자인 사업 발주기관 현황 22 4. 공공디자인 사업 발주부서 현황 28 5. 공공디자인 사업 지역 분석 32 6. 공공디자인 사업 공고 유형 분석 37 7. 공공디자인 사업 계약 유형 분석 41 8. 공공디자인 사업 발주 시기 분석 45 9. 공공디자인 발주사업의 참여 제한 조건 48 10. 공공디자인 발주사업 주요 키워드 분석 49 11. 공공디자인 참여 사업체 업종 분석 54 Ⅲ장 지자체 법인식 실태조사 59 1. 공공디자인 운영 현황 61 2. 공공디자인 부서 및 인력 현황 65 3. 공공디자인 예산 및 발주사업 규모 69 4. 공공디자인 유형별 용역비 비중 72 5. 발주사업 참여 조건 74 6. 공공디자인 지역 진흥계획 수립 현황 77 7. 공공디자인 지역위원회 운영 현황 81 8. 우수 제안서 보상 현황 85 9. 우수 공공디자인 선정 및 시상 현황 87 10. 공공디자인 공청회 개최 현황 89 11. 공공디자인 사업 운영 시 가장 어려운 점 92 12. 공공디자인 사업 운영 시 필요한 지원 사항 94 13. 공공디자인 사업 운영 시 고려하는 법률 96 14. 공공디자인 교육 현황 100 Ⅳ장 공공디자인 전문회사 실태조사 105 1. 재무 현황 107 2. 공공디자인 사업비 108 3. 공공디자인 사업 유형별 수행 비중 109 4. 2021년 경기 전망 110 5. 2022년 경기 전망 111 6. 공공디자인 전문회사 인력 현황 112 7. 공공디자인 전문인력 현황 113 8. 전문인력 부족 및 운영 차질의 원인 116 9. 전문인력 부족 및 운영 차질로 인한 애로사항 118 10. 전문인력 채용 시 주요 고려사항 119 11. 전문인력 채용 시 어려움 121 12.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정부의 과제 122 13. 공공디자인 기여도 125 14. 공공디자인 위상 126 15. 공공디자인 사업에 필요한 정보 127 16. 공공디자인 사업 운영의 애로사항 128 17. 정부 지원 정책 130 18. 전문회사 업종 분석 133 Ⅴ장 지역 진흥계획 사례 분석 135 1. 공공디자인 현황 분석과 그에 따른 진흥 계획 137 2. 지역 진흥계획의 도식화 141 3. 공공디자인 관련 법·제도 정책 조사분석 146 4. 진흥 기반, 사업, 추진 로드맵 제시 151 Ⅵ장 정책 제언 155 1. 공공디자인 사업의 활성화 촉진 157 2. 공공디자인 인식 개선 158 3. 공공디자인 전문인력 확충 방안 159 4. 민간 전문인력 확충 방안 160 5. 공공디자인 업무의 표준화 160 6. 공공디자인 전문회사 확충 방안 161 부록(조사표) 163
- 주제분류
- 통계
- 기관·지역분류
- 공공기관 / 서울
- 키워드
- 공공디자인, 실태조사, 보고서, 2020
- 링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한 가족서비스를 기반으로, 이민정책 등의 변화로 급증하는 신규 정착 장기거주형 외국인(이주배경)가족의 한국생활 정착 및 가족지원 등에 대한 서비스 방안을 탐색하고 지원모델을 제안함.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24
다문화학생 지속적 증가 및 이주배경 다양화로 다문화 친화적 교육 환경 조성이 필요함에 따라, 「초‧중등교육법」「서울특별시교육청 다문화교육 진흥 조례」등에 의거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상호존중의 교육문화 조성을 위한 기본 계획 수립
서울특별시교육청
2025
본 연구에서는 정상 색각인과 색각이상자들 모두가 혼란 없이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안내사인의 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컬러유니버설디자인으로서 활용가능한 색채 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충남연구원 공공디자인센터
2024
진흥계획을 통해서 당진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 개선과 더불어 실행 가능한 사업을 도출하고, 당진시가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사회적 문화 해결을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시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당진시
2022